메뉴 메뉴
닫기
검색
 

문화

제 705 호 [기획] 일제를 향한 용기의 단검, 조명하 의사

  • 작성일 2022-05-31
  • 좋아요 Like 0
  • 조회수 6833
김지현

일제를 향한 용기의 단검, 조명하 의사


  6월은 의병의 날부터 시작해 6.25전쟁, 그리고 연평해전까지 우리나라 역사의 획을 긋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이 많았기에 ‘호국·보훈의 달’로 불리게 되었다. 특히 6월 6일은 현충일로,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는 날이기도 하다. 다가오는 현충일을 기념하여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할지 모르는 한 명의 독립투사, ‘조명하 의사’를 만나보려 한다.



조명하 의사의 ‘타의중 의거’

▲ 독립운동가 조명하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https://www.aks.ac.kr/index.do)


  조명하 의사는 황해도 송화군 출신의 평범한 청년이었다. 그러나 그는 1926년에 일어났던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습격한 송학선의 의거를 보고 난 뒤, 자신의 인생을 독립운동에 바치기로 결심한다. 일본을 거쳐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로 향하던 그는 우연히 대만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곳에서 일제의 식민통치정책의 내막을 알게 되며 큰 충격을 받는다. 일본인 주인의 찻집에서 성실하게 일을 하면서도 단검술을 연마하던 그는 어느 날 당시 일왕의 장인이자 일본 육군 대장 구니노미야 구니요시가 대만에 방문한다는 소식을 접한다. 때가 왔다고 판단한 그는 독이 발린 단도로 암살을 시도하고 구니노미야의 목덜미에 상처를 내는 데 성공한다. 이 때문인지, 이듬해 1월 구니노미야는 사망하게 된다. 거사 직후 체포된 조명하 의사는 모진 고문 끝에 사형선고를 받고 결국 타이베이 형무소에서 24세의 나이에 총살형으로 순국했다.



그가 남긴 발자취를 따라서

  조명하 의사가 사형선고를 받고 집행되기까지는 이례적인 속도로 고작 3개월이 걸렸다. 일본이 그가 거행했던 의거가 식민지배에 미칠 영향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현재에 와서는 1920년대 일본 정부가 주장한 '본토 확대주의'의 허상을 보여준 것으로서 대만 총독부를 포함한 일본 당국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다고 평가받는다. 당시 일본에서는 그의 거사를 ‘7월 불경 사건’이라 칭하고 대서특필하며 그 파급력을 인정함과 동시에, 한국과 대만에서는 일본에 의해 1달 동안 그와 관련한 보도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탄압을 겪는다. 

언론뿐만 아니라, 그의 의거는 일본 군부와 정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기도 했다. (제3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잇는) 제4대 조선 총독 야마나시 한조와 제11대 대만 총독 가미야마 만노신은 각각 조선, 대만의 피식민지인 관리 소홀을 이유로 경질당하고 혹은 간접적인 압박으로 인해 사임하게 되는 사태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명하 의사의 의거는 네 가지의 시사점을 얻는다. 첫째, 한인 애국단의 윤봉길과 의열단의 나석주와는 달리 조직의 일원이 아닌 단독거사이다. 둘째, 일본인이 거의 신처럼 모시는 왕족을 표적으로 한 거사이다. 셋째, 총이나 폭탄이 아닌 누구나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도검을 애용했다. 넷째, 대만이라는 일본 식민지배의 전략적 요충지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 새롭게 발견된 타이중 의거 조명하 의사 사진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



모든 독립운동가를 위하여

  그가 일구어낸 의거는 당대에도, 현재에도 굉장히 의미가 깊지만, 일반적인 대중에게는 조명받지 못한 점이 많다. 그 이유로는 친척에 대한 보복을 막기 위해 스스로의 행적을 지웠던 것, 공식적인 사료가 부족한 것 등 다양하게 있겠지만 무엇보다 우리가 이들의 희생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조명하 의사뿐만 아니라 조명받지 못한 수많은 독립운동가 모두를 기억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기억하려는 마음가짐’이다. 우리는 모두 순국선열과 호국보훈의 열의를 기리려는 마음가짐을 가지며,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는 거저 받은 것이 아닌 누군가의 피와 살로 이루어졌음을 항상 기억하며 살아가야 할 것이다. 앞으로 우리 민족의 긍지가 무엇인지 참으로 회고할 때임을 인식하며, 그 자세와 수많은 의인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



김채연 기자, 김상범 수습기자